한국인의 사망원인 3위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입니다. 그 만큼 위험한 질병입니다.
심장질환은 증상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것이 더 무섭습니다. 심하면 사망까지 이어지는 심장질환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협심증이란 ?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 받습니다. 동맥경화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이라도 혈관이 좁아진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액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협심증 또는 허혈성 심질환이라 부릅니다..
우리 몸은 이러한 상황에서 흉통을 느끼는데 이럴때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지 알아 볼게요..조금이라도 몸이 이상하면 병원 진료를 받으시길 권장해 드립니다.
협심증 증상
협심증의 전형적인 증상은 활동 시 악화되는 가슴 정중앙, 좌측 가슴에 5분-10분 내외로 지속되는 통증으로, 흉통의 특성은 환자분들의 표현으로는 '뻐근하다', '짓누르는 것 같다', '꽉 조이는 것 같다', '가슴에 고춧가루를 뿌린 것 같이 화끈거린다' 등으로 설명합니다. 통증은 좌측 어깨나 팔, 턱, 목, 명치 부위 등으로 방사되기도 하며, 흉통 발생 당시 식은땀이 동반되기도 한다. 하지만, 환자분들에 따라 비전형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기 때문에 명치 부위로부터 턱에 이르는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라도 협심증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협심증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협심증 치료
협심증의 치료는 크게 내과적인 약물요법, 관상동맥 중재술과 관상동맥 우회수술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협심증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약물치료입니다. 동시에 동반된 질환(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치료, 위험요소(흡연, 비만 등)의 교정 등이 필수적입니다.
무조건 금연하셔야 합니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만성 성인병 발생이 증가하는 40대 이후에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등 중증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검진 결과상 이상이 의심되면 방치하지 말고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가족력 등 다른 위험요인을 가진 사람의 경우 자신의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협심증 증상 및 치료 알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