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정보

소화제 부작용 및 복용시 주의사항

by 어색한1222 2017. 1. 24.
반응형

소화제 부작용 및 복용시 주의사항

일반 성인이라면 소화가 안되어서 혹은 배가 아파서

까스활명수를 복용한 적이 있을겁니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복용하고 있는 약 중의 하나가 소화제 입니다.

소화가 안된다 싶으면 음료수 마시듯 하고 상비약으로 가지고 다닐정도인데

소화제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일상생활에서 흔히 복용하는 약이라

소화제 오,남용에 더욱 신경써야 합니다.

소화제 부작용 및 복용시 주의사항

소화제는 대부눈 일반 의약품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살 수 있는 만큼, 소화제의 포장이나 사용설명서를 꼼꼼히 읽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성분명 아래 00소화력,00단위 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해당 소화효소가 어떤 식품을 잘 소화하는지 그 효력을 나타냅니다. 만일 전분소화력이라고 쓰여 있으면 이는 곡류등 당분 식품을 잘 소화해주는 약이라는 의미입니다.

소화효소로 만든 시판 소화제의 대부분은 위산에 약합니다. 따라서 위산 분비 억제제,제산제 등과 함께 복용해야 약효를 얻을 수 있습니다.

소화제는 일반적으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지만 소화제의 주요성분인 판크레아틴(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소화)은 피부발진,설사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돼지고기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소화제가 다른 약들과 함께 복용할 경우 소화제는 다른 약품들이 위장에서 흡수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니 복합 복용은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소화제 중 정제,캡슐제의 사용설명서를 보면 7세 이하의 영유아에게 투여하지 않는다 라고 명시돼있습니다.이 경우 어린이가 먹기 쉽게 분말,과립,마시는 약의 소화제를 사용하는데 1세 미만 아이에게 먹지이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자주 소화제를 복용하면 소화제의 도움에 익숙해진 위장이 소화제가 없으면 제 역할을 발휘하지 못해 더 잦은 소화불량을 가져 올수 있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소화제 부작용 및 복용시 주의사항 알아 보았습니다.

특별한 원인 없이 체중이 감소하거나 음식물을 삼킬 때 불편함을 느끼고 흑색 변,변혈 등 출혈 증세를 보인다면 심각한 짛롼의 경고 증상일 수 있으니 반드시 전문의의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소화제를 함부로 복용하면 절대 안됩니다.

반응형